무슨일 생길라 ‘동작감시센서’
방 문턱 없애 휠체어 들락날락 강남 세곡동 국내 첫 '노인전용 아파트' 가보니

http://media.daum.net/society/nation/view.html?cateid=100011&newsid=20110707225015828&p=hani

[한겨레]
7일 오전 입주를 앞둔 서울 강남구 세곡동 세곡 4단지 4층 84㎡ 규모의 아파트 현관에 들어서니 호텔에나 있을 법한 카드키 센서가 벽에 붙어 있었다.

외출할 때 카드키를 빼면 집 전체 전원이 저절로 꺼지는 센서가 세곡 4단지에 설치된 이유는 고령자 맞춤형 전용단지이기 때문이다. 카드키 센서는 집중력이 떨어지는 고령자가 전기·전자 제품의 전원을 끄지 않고 외출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누전으로 인한 화재를 막기 위한 안전 장치다.

아파트 내부에 들어서자 고령자 신체특성에 맞춘 공간과 시설들이 한눈에 띄었다. 싱크대와 세면대는 높낮이 조절용으로 설치해 고령자의 신체특성에 맞게 이용이 가능하고, 현관·욕실·방 등 내부 공간에는 휠체어 출입이 쉽도록 문턱이 아예 없다.

노인 입주자에게는 응급 상황 발생 시 관리사무실 등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휴대용 비상호출기가 지급되고, 거실에는 '동작감시센서'를 설치해 48시간 이상 사람의 움직임이 없을 경우 관리사무소에 자동 통보되는 2중 구호시스템을 구축했다.

아파트 복도 폭은 휠체어 두대가 엇갈려 다닐 수 있도록 다른 아파트 복도에 견줘 넓고, 단지 안에는 휘트니스센터, 게이트볼장, 경로당 등이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세곡1~5단지 가운데 세곡 4단지 8개동 407세대 전체를 주거, 안전 환경과 문화 시설 등이 노인에게 최적화된 고령자 맞춤형 전용단지로 국내 최초로 시범 조성했다고 밝히고, 출입기자들과 함께 세곡4단지를 둘러봤다.

고령자 맞춤형 전용단지는 장기전세주택(시프트) 229세대와 저소득층 노인의 주거향상을 위한 국민임대주택 178세대로 이뤄졌다. 장기전세주택은 전용면적 59㎡와 84㎡로 구성되며, 국민임대주택은 전용면적 39㎡와 49㎡로 구성된다. 지난달 22일부터 입주를 시작해 현재 25.1%인 102가구가 입주했다.

입주자격은 서울에 사는 65세 이상 무주택 세대주로, 전용면적 59㎡ 이하의 경우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의 70% 미만, 84㎡의 경우 도시근로자 가구 월 평균소득의 150% 미만이다.

시는 2015년까지 천왕 등 7개 지구, 35개 단지 1~2층에 고령자 임대주택 1673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늦은 결혼·독거노인… 가족이 줄어든다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110707201112212&p=segye&RIGHT_COMM=R3

2010 인구주택 총조사
1·2인가구 48.2%로 늘어나…4인가구 비율은 역대 최저치


[세계일보]

한국의 대표적 가구 구성이 '4인 가구'에서 '2인 가구'로 바뀌었다. 부부만 사는 1세대 가구가 느는 가구분화가 이어지고 1인 가구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10 인구주택총조사'의 가구·주택부문 전수집계 결과에 따르면 2인 가구 비율은 1990년에는 13.8%에 그쳤지만 1995년 16.9%, 2000년 19.1%, 2005년 22.2%, 2010년 24.3%로 꾸준히 높아졌다.

1인 가구 역시 1990년 102만1000가구(9.0%)에서 2010년 414만2000가구(23.9%)로 20년 만에 4배 이상 늘었다.

반면 총 가구에서 4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1990년 29.5%, 1995년 31.7%, 2000년 31.1%, 2005년 27.0%를 차지해 가장 주된 가구유형이었지만 지난해에는 22.5%로 비중이 뚝 떨어져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이처럼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이유로는 늦은 결혼과 혼인 감소, 이혼 및 혼자 사는 노인의 증가와 관련이 깊다.

실제 1인 가구를 연령별로 보면 2005년에는 20대가 21.4%로 가장 많았으나 지난해는 70세 이상이 19.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해 홀로 사는 노인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70세 이상에 이어 30대가 19.1%였고, 20대가 18.4%를 차지했다.

핵가족 가구 수 역시 2005년 1033만1000가구에서 지난해는 1068만2000가구로 35만1000가구가 증가했다.

하지만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핵가족 가구 비율은 61.6%로 2005년(65.0%)보다 3.4%포인트 줄었다.

핵가족을 유형별로 보면 부부 가구는 5년 전보다 18.3% 증가하고 '부+미혼자녀'와 '모+미혼자녀'가 각각 21.1%, 15.1% 늘었으나 '부부+미혼자녀'는 4.3% 감소했다.

가구의 소가족화와 분화 등으로 가구증가율이 인구증가율보다 높았다. 2005년 대비 지난해의 인구증가율은 2.8%인데 가구증가율은 9.9%였다.

또 여성가구주 비율은 2005년 21.9%에서 지난해 25.9%로 늘었고, 가구주의 중위연령(중간연령)은 49.0세로 2005년(46.7세)보다 높아졌다. 배우자가 있는 가구주의 비율은 66.6%로 2005년 70.0%보다 3.4%가 줄었으며 미혼, 사별, 이혼가구는 각각 1.6%포인트, 0.2%포인트, 1.6%포인트 늘었다.

이밖에 일반가구는 1733만9000가구로 총 가구의 98.7%였으며 외국인가구(21만4000가구)는 1.2%를 차지했다. 집단가구(2만1000가구) 비율은 0.1%였다.

외국인가구는 2005년보다 152.9% 급증했고 집단가구도 25.2%나 늘었다. 집단가구는 남남끼리 함께 사는 6인 이상의 가구와 기숙사나 노인요양시설 등 사회시설에 집단으로 사는 가구다. 집단가구가 급증한 것은 노인 요양시설 등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귀전 기자 frei5922@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