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5372673&cp=du
우리나라 산업화를 이끌었고, 지금은 가정의 기둥인 50대 남성이 경제난과 생활고에 시달리다 자살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20일 통계청에 따르면 50∼54세 남성의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이 2009년 62.4명으로 처음 60명을 넘어섰다. 1989년 15.6명보다 4배 증가한 수치다.
한국 베이비부머 세대의 주력 계층인 50∼54세 남성의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은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83년 25.6명에서 89년 15.6명까지 감소했다. 그러나 이후 꾸준히 증가해 96년 30명을 넘어섰다. 외환위기가 찾아왔던 98년 48.5명을 기록한 뒤 2004년 55.1명, 2009년 62.4명, 지난해 56.7명으로 인구 10만명당 자살률 50명을 훌쩍 뛰어넘었다.
지난해 50대 남성 인구의 10만명당 자살률은 전체 자살률 31.2명의 1.81배 높았다. 또 최근 사회적 문제로 부각된 20대 청년 자살률 24.4명보다는 2배 이상 높았다. 전체적으로는 70대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자살률을 보였다.
반면 50∼54세 여성의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은 89년 5.2명에서 19.9명으로 늘었지만 절대적 수치뿐 아니라 증가율도 남성보다 작았다.
이처럼 50∼54세 남성의 자살률이 급증한 데는 경제적 문제가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통계청의 2010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에 응한 남성의 절반에 가까운 44.9%가 ‘경제적 어려움’을 자살충동 이유로 꼽았다. 지병(11.3%)과 외로움(11.0%)이 그 뒤를 이었다.
경제위기가 찾아올 때마다 자살률이 급증한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외환위기가 찾아왔던 98년 자살률이 처음 40명을 넘어섰고, 카드대란이 찾아왔던 2004년엔 50명을 넘어섰다. 또 2008년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엔 60명을 넘어섰다.
김호기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는 “외환위기 이후 50대 가장은 퇴출 공포나 노후 불안에 시달렸다”며 “사회적으로 공동체 의식을 높이는 연대의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베이비붐 세대가 부모 세대와 자식 세대 사이에 ‘낀 세대’의 특징을 지녀 정체성 부재로 방황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함인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는 “이들은 가정에서 공고한 위치를 차지했던 아버지 세대와 달리 가장으로서의 위치마저 흔들리는 세대”라고 지적했다.
Korea- 사장님 소리 듣지만‥월급쟁이 부러운 베이비부머
http://media.daum.net/economic/view.html?cateid=1041&newsid=20111110173843043&p=Edaily&RIGHT_ECO=R3
2005년부터 줄 던 자영업자가 최근 다시 늘면서 전문가들 사이에서 질 낮은(저부가가치) 일자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소규모 음식점이나 도소매업종을 중심으로 고연령대 자영업자가 늘고 있다는 점에서다.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2차 자영업 구조조정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10일 통계청에 따르면 자영업자는 지난 8월 이후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며 지난달에는 10만7000명 가량 증가했다. 자영업자는 지난 2005년부터 올해 7월까지 64개월 연속 감소하다 8월부터 증가세로 돌아선 것.
이런 현상에 대해 과점경쟁 탓에 시작된 구조조정이 최근 마무리된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유경준 한국개발연구원(KDI) 재정사회정책연구부장은 "자영업 구조조정이 일단락된 상황에서 본격적으로 은퇴를 시작한 베이버부머와 일부 청년층이 자영업에 뛰어들면서 자영업자 수가 증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좀 더 지켜봐야한다는 신중론도 있다. 선진국에 비해 자영업자가 여전히 많은데다, 베이비부머가 본격적으로 은퇴하고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인구구조가 바뀌고 있는 상황이란 점에서다. 소득 2만달러를 기준으로 우리나라(2008년 기준) 자영업 비율은 35%였고, 미국(1988년)의 자영업자 비중은 8%에 불과했다.
신석하 KDI 경제동향연구팀장은 "고령층 생산가능 인구가 증가하면서 자영업자 쪽에서도 상대적으로 빨리 늘어나는 것인지, 아니면 베이비부머가 임금근로 자리가 없어 자영업으로 이동하는 것인지는 좀 더 살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최근 늘어나고 있는 자영업자가 도소매업이나 음식점 같이 부가가치가 높지 않은 곳에 몰려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데는 대체로 의견이 일치한다.
실제 자영업자가 증가하기 시작한 8월에 산업별로 도소매업이 1만3000명, 숙박·음식업이 3만4000명 늘어났다. 규모별는 1~4인 사업체의 자영업자가 5만3000명으로 가장 큰 폭으로 늘었고, 10~29인 사업체도 2만1000명 증가했다.
반면 같은기간 30~99인은 2000명 줄고, 영세 자영업자가 포함되지 않은 신설법인수(9월기준)가 4770개로 전월보다 356개 감소했다.
손민중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최근 은행권 소호대출이 늘고 있고, 50대 이상의 소규모 창업이 증가하고 있다"며 "10월도 8월과 비슷한 추세로 자영업자가 늘어났을 것"으로 전망했다.
유경준 부장은 "자영업 1차 구조조정은 일단락됐지만 저부가가 섹터들은 다시 구조조정이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며 "베이비부머들이 자영업쪽으로 계속 들어오다 한계에 다다르면 저임금 근로자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2005년부터 줄 던 자영업자가 최근 다시 늘면서 전문가들 사이에서 질 낮은(저부가가치) 일자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소규모 음식점이나 도소매업종을 중심으로 고연령대 자영업자가 늘고 있다는 점에서다.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2차 자영업 구조조정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
이런 현상에 대해 과점경쟁 탓에 시작된 구조조정이 최근 마무리된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유경준 한국개발연구원(KDI) 재정사회정책연구부장은 "자영업 구조조정이 일단락된 상황에서 본격적으로 은퇴를 시작한 베이버부머와 일부 청년층이 자영업에 뛰어들면서 자영업자 수가 증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좀 더 지켜봐야한다는 신중론도 있다. 선진국에 비해 자영업자가 여전히 많은데다, 베이비부머가 본격적으로 은퇴하고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인구구조가 바뀌고 있는 상황이란 점에서다. 소득 2만달러를 기준으로 우리나라(2008년 기준) 자영업 비율은 35%였고, 미국(1988년)의 자영업자 비중은 8%에 불과했다.
신석하 KDI 경제동향연구팀장은 "고령층 생산가능 인구가 증가하면서 자영업자 쪽에서도 상대적으로 빨리 늘어나는 것인지, 아니면 베이비부머가 임금근로 자리가 없어 자영업으로 이동하는 것인지는 좀 더 살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최근 늘어나고 있는 자영업자가 도소매업이나 음식점 같이 부가가치가 높지 않은 곳에 몰려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데는 대체로 의견이 일치한다.
실제 자영업자가 증가하기 시작한 8월에 산업별로 도소매업이 1만3000명, 숙박·음식업이 3만4000명 늘어났다. 규모별는 1~4인 사업체의 자영업자가 5만3000명으로 가장 큰 폭으로 늘었고, 10~29인 사업체도 2만1000명 증가했다.
반면 같은기간 30~99인은 2000명 줄고, 영세 자영업자가 포함되지 않은 신설법인수(9월기준)가 4770개로 전월보다 356개 감소했다.
손민중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최근 은행권 소호대출이 늘고 있고, 50대 이상의 소규모 창업이 증가하고 있다"며 "10월도 8월과 비슷한 추세로 자영업자가 늘어났을 것"으로 전망했다.
유경준 부장은 "자영업 1차 구조조정은 일단락됐지만 저부가가 섹터들은 다시 구조조정이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며 "베이비부머들이 자영업쪽으로 계속 들어오다 한계에 다다르면 저임금 근로자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대학생 아이 둘… 금융위기 퇴직후 재취업 3년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view.html?cateid=100019&newsid=20110918110809456&p=moneytoday
[머니투데이 송지유기자][편집자주] '1차 베이비붐 세대'(1955∼63년생)의 은퇴가 시작됐다. 한국전쟁 이후 태어나 산업화 초기 유년기를 보낸 이들. 콩나물시루같은 교실에서 수업을 받고 소 판 돈으로 대학을 다닌 사람들. 자신의 노후준비보다 부모 봉양과 자녀 뒷바라지가 우선이라고 생각하는 세대. 728만명. 전체 인구의 14.9%에 달하는 이들의 '집단퇴장'은 한국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른다. 2011년 9월 사는 곳, 하는 일이 제각기 다른 '베이비부머' 4인의 현실을 시리즈로 들여다본다.
[[은퇴시작한 베이비부머 4인4색 < 3 > ] 중견건설사 임원의 하루]
"실적을 못내면 언제 짐을 싸야할지 모르니 늘 불안하죠. 분양은 안되고 힘겹게 아파트 지어놓으면 입주율은 바닥이고…. 하루에 회의를 몇번이나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요즘은 중도금 대출 조건까지 까다로워져서 비상이에요. 은행 직원 말 한마디에 하루에도 몇번씩 천당과 지옥을 오간다니까요. 회사 규모가 작으니 네 일, 내 일이 따로 없어요. 임원들은 무한책임을 져야 한답니다."
중견건설사 자금담당 임원인 최진영씨(가명·54)는 "하루하루가 전쟁같다"고 말한다. 최씨는 시공능력평가순위 20위 안에 드는 꽤 잘 나가는 건설사에 다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회사가 어려워지면서 지난 2009년초 이미 한 차례 퇴직을 경험했다. 다행히 3개월만에 새 직장을 구했지만 과도한 실적 스트레스 때문에 마음 편한 날이 없다.
업무 스트레스 뿐이 아니다. 최근엔 '이 회사에서도 언제 잘릴 지 모른다'는 불안감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그에게는 군복무중인 대학 2학년생 아들(23)과 올해 대학에 입학한 딸(20)이 있다. 부부의 노후자금 마련은 고사하고 자녀들 학비, 결혼비용 등 목돈 들어갈 일이 줄을 서 있다. 4대 독자인 그에겐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언젠가는 고향에 계신 부모님을 전적으로 부양해야 한다는 부담도 크다.
최씨는 매일 아침 오전 7시30분 출근해 자금 입출금 내역부터 점검한다. 자금 상황 파악이 끝나면 팀장들을 소집해 프로젝트파이낸싱(PF) 현황, 시행사 대여금 회수, 자재비 현황, 하도급업체 공사대금 결제 등을 체크하고 사업장별 현안에 대한 회의를 한다.
오전 9시부터는 사장 주재 임원회의가 있다. 아파트 분양·입주 현황, 자금상황에 대한 보고가 시작되자 사장의 표정이 어두워진다. 최씨를 비롯한 임원들이 죄인들처럼 고개를 숙이고 사장의 눈치를 살핀다. 마케팅담당 임원이 미분양아파트를 팔려면 분양가 할인, 중도금 무이자 등 파격적인 계약 조건을 내걸어야 한다고 보고한다. 자금을 맡고 있는 최씨 입장에선 한푼이 아쉬워 난감하지만 "검토해보라"는 사장의 지시가 떨어진다.
임원회의를 마치고 나온 그는 곧바로 은행으로 향한다. 만기가 돌아오는 PF 대출금 상환 연장과 아파트 중도금 대출 조건을 논의하기 위해서다. 점심시간. 그는 은행 임원과 직원들을 데리고 나와 밥과 차를 대접한다.
회사로 돌아가는 차안. 사장에게 전화가 걸려온다. 사장은 내일 모레 하도급업체 대금 결제에 문제가 없는 지 묻는다. 그는 결제는 할 수 있는지만 잔액이 아슬아슬하니 어음으로 결제할 것을 제안한다. 사장은 내일까지 고민해보자고 말했지만 현금지급을 했으면 하는 뉘앙스다. 갑자기 머릿 속이 복잡해진다.
50대 중반의 최씨는 언제 찾아올지 모르는 두번째 퇴직이 두렵다. 건설업황이 좋지 않아 지금 다니는 회사에서 나가면 재취업은 어렵다고 봐야 한다. 하지만 내 일을 시작할 창업비용은 마련하지 못했다. 노후준비도 충분치 않다. 5억원짜리 서울 강북구 수유동 145㎡ 아파트와 금융자산 6000만원(예.적금 5000만원, 펀드 1000만원)가 최씨 노후자금의 전부(국민연금 제외)다.
내일 당장 회사를 관둬도 자녀들 학비는 어떻게든 충당하겠지만 문제는 결혼비용이다. 그는 자녀들에게 "대학 공부까지는 시켜줄테니 결혼은 알아서들 하라"고 농담처럼 말하지만 속마음은 전혀 다르다. 딸에게는 남부럽지 않은 혼수를 장만해주고, 아들에게는 번듯한 집은 못 사줘도 전셋집이라도 마련해주고 싶다.
그는 10년쯤 뒤에는 수유동 아파트를 처분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늘 하고 있다. 회사를 오래 다니거나 창업에 성공하지 않는 한 자산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집을 처분하지 않고는 도저히 답이 나오지 않아서다. 자녀들이 결혼하면 부부만 남는데 '40평형대 아파트는 사치'라고 최면을 건다. '아파트를 처분해 아이들을 결혼시키고 수도권 외곽 싼 땅에 전원주택을 지어 살자.' 2011년 9월 최씨가 두드리는 자산리모델링 계산법이다.
[머니투데이 송지유기자][편집자주] '1차 베이비붐 세대'(1955∼63년생)의 은퇴가 시작됐다. 한국전쟁 이후 태어나 산업화 초기 유년기를 보낸 이들. 콩나물시루같은 교실에서 수업을 받고 소 판 돈으로 대학을 다닌 사람들. 자신의 노후준비보다 부모 봉양과 자녀 뒷바라지가 우선이라고 생각하는 세대. 728만명. 전체 인구의 14.9%에 달하는 이들의 '집단퇴장'은 한국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른다. 2011년 9월 사는 곳, 하는 일이 제각기 다른 '베이비부머' 4인의 현실을 시리즈로 들여다본다.
[[은퇴시작한 베이비부머 4인4색 < 3 > ] 중견건설사 임원의 하루]
중견건설사 자금담당 임원인 최진영씨(가명·54)는 "하루하루가 전쟁같다"고 말한다. 최씨는 시공능력평가순위 20위 안에 드는 꽤 잘 나가는 건설사에 다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회사가 어려워지면서 지난 2009년초 이미 한 차례 퇴직을 경험했다. 다행히 3개월만에 새 직장을 구했지만 과도한 실적 스트레스 때문에 마음 편한 날이 없다.
업무 스트레스 뿐이 아니다. 최근엔 '이 회사에서도 언제 잘릴 지 모른다'는 불안감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그에게는 군복무중인 대학 2학년생 아들(23)과 올해 대학에 입학한 딸(20)이 있다. 부부의 노후자금 마련은 고사하고 자녀들 학비, 결혼비용 등 목돈 들어갈 일이 줄을 서 있다. 4대 독자인 그에겐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언젠가는 고향에 계신 부모님을 전적으로 부양해야 한다는 부담도 크다.
최씨는 매일 아침 오전 7시30분 출근해 자금 입출금 내역부터 점검한다. 자금 상황 파악이 끝나면 팀장들을 소집해 프로젝트파이낸싱(PF) 현황, 시행사 대여금 회수, 자재비 현황, 하도급업체 공사대금 결제 등을 체크하고 사업장별 현안에 대한 회의를 한다.
임원회의를 마치고 나온 그는 곧바로 은행으로 향한다. 만기가 돌아오는 PF 대출금 상환 연장과 아파트 중도금 대출 조건을 논의하기 위해서다. 점심시간. 그는 은행 임원과 직원들을 데리고 나와 밥과 차를 대접한다.
회사로 돌아가는 차안. 사장에게 전화가 걸려온다. 사장은 내일 모레 하도급업체 대금 결제에 문제가 없는 지 묻는다. 그는 결제는 할 수 있는지만 잔액이 아슬아슬하니 어음으로 결제할 것을 제안한다. 사장은 내일까지 고민해보자고 말했지만 현금지급을 했으면 하는 뉘앙스다. 갑자기 머릿 속이 복잡해진다.
50대 중반의 최씨는 언제 찾아올지 모르는 두번째 퇴직이 두렵다. 건설업황이 좋지 않아 지금 다니는 회사에서 나가면 재취업은 어렵다고 봐야 한다. 하지만 내 일을 시작할 창업비용은 마련하지 못했다. 노후준비도 충분치 않다. 5억원짜리 서울 강북구 수유동 145㎡ 아파트와 금융자산 6000만원(예.적금 5000만원, 펀드 1000만원)가 최씨 노후자금의 전부(국민연금 제외)다.
내일 당장 회사를 관둬도 자녀들 학비는 어떻게든 충당하겠지만 문제는 결혼비용이다. 그는 자녀들에게 "대학 공부까지는 시켜줄테니 결혼은 알아서들 하라"고 농담처럼 말하지만 속마음은 전혀 다르다. 딸에게는 남부럽지 않은 혼수를 장만해주고, 아들에게는 번듯한 집은 못 사줘도 전셋집이라도 마련해주고 싶다.
그는 10년쯤 뒤에는 수유동 아파트를 처분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늘 하고 있다. 회사를 오래 다니거나 창업에 성공하지 않는 한 자산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집을 처분하지 않고는 도저히 답이 나오지 않아서다. 자녀들이 결혼하면 부부만 남는데 '40평형대 아파트는 사치'라고 최면을 건다. '아파트를 처분해 아이들을 결혼시키고 수도권 외곽 싼 땅에 전원주택을 지어 살자.' 2011년 9월 최씨가 두드리는 자산리모델링 계산법이다.
700만 베이비부머 몰려온다!
http://news.mt.co.kr/mtview.php?no=2011042023465763282&type=&
편집자주|1955∼63년에 태어난 이른바 '1차 베이비붐' 세대는 728만명(전체 인구의 14.9%)에 달한다. 지난해에는 55년에 태어난 한국의 첫 '베이비부머'가 55세를 맞아 은퇴하기 시작했다. 여기에 이들의 40% 이상인 임금근로자(약 300만명)가 앞으로 7∼8년간 직장에서 줄줄이 은퇴할 전망이다. 우리 사회의 주축인 베이비부머의 집단퇴장은 경제적으로 큰 파장을 낳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자산의 70∼80%를 부동산으로 보유한 이들의 은퇴는 주택시장, 더 나아가 부동산시장 전체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란 견해가 지배적이다. 1차 베이비붐 세대의 현재 모습과 이들의 은퇴가 부동산시장에 미칠 영향을 짚어본다.
베이비부머 은퇴 "집값 폭락 vs 하락 없다" [기획 - 부동산시장 큰 손 '베이비부머'의 은퇴(2)]
http://stock.mt.co.kr/view/mtview.php?no=2011082915155746797&type=1&outlink=2&EVEC
편집자주|1955∼63년에 태어난 이른바 '1차 베이비붐' 세대는 728만명(전체 인구의 14.9%)에 달한다. 지난해에는 55년에 태어난 한국의 첫 '베이비부머'가 55세를 맞아 은퇴하기 시작했다. 여기에 이들의 40% 이상인 임금근로자(약 300만명)가 앞으로 7∼8년간 직장에서 줄줄이 은퇴할 전망이다. 우리 사회의 주축인 베이비부머의 집단퇴장은 경제적으로 큰 파장을 낳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자산의 70∼80%를 부동산으로 보유한 이들의 은퇴는 주택시장, 더 나아가 부동산시장 전체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란 견해가 지배적이다. 1차 베이비붐 세대의 현재 모습과 이들의 은퇴가 부동산시장에 미칠 영향을 짚어본다.
- 집값 폭락 : 美·日도 베이비붐세대후 장기 약세 - 일단 유지 : 은퇴 직후보다 15~20년 후 유동화 부동산시장에선 '1차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로 "집값 하락이 불가피하다"는 전망과 "대세하락은 없을 것"이란 전망이 엇갈린다. 베이비부머의 자산은 주택 등 부동산에 편중돼 있어 노후생활을 위해 주택을 처분하는 수요는 증가하는 반면 집을 살 수 있는 경제활동 수요는 감소해 집값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게 하락론의 뼈대다. 베이비부머의 은퇴가 집값의 대세하락으로 이어지진 않을 것으로 보는 전문가들은 인구구조 변화뿐 아니라 거시경제 상황, 사회·문화요인, 주택시장 트렌드 등 다른 요인들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가진 건 집 1채뿐…주택처분-가격하락 불가피" 손은경 KB금융그룹 경영연구소 연구원은 '베이비붐 세대 은퇴에 따른 주택시장 변화'라는 보고서를 통해 "국내 1차 베이비붐 세대의 자산구조를 살펴보면 가계부채를 지렛대 삼아 부동산 자산을 늘린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며 "은퇴 후 소득이 감소하면 부채상환 부담으로 부동산 처분 압력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노후 준비가 충분하지 않은데다 자녀의 학비나 결혼자금 지원에 대한 책임감이 크다는 점도 베이비부머의 자산건전성 악화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며 "부동산경기 침체로 집값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운 가운데 금리인상, 금융권 대출 회수 등이 이뤄지면 부동산 처분, 가격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본 미국 등의 집값이 베이비붐 세대 은퇴 후 하락한 전례도 한 근거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장은 "일본은 1990년대 들어 베이비붐 세대인 단카이 세대의 은퇴 러시가 시작되면서 집값이 장기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며 "어느 나라나 인구 변화와 주택가격 변화 추이가 비슷한 만큼 한국도 베이비부머가 은퇴하면 장기적으로 집값 하락 추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당장 처분보다는 일단 유지…다운사이징도 천천히" 올 연말 정년을 앞둔 대기업 사내연구소 연구원인 이정민씨(가명·56)는 주말마다 경기도 일대를 돌며 전원주택 부지를 알아보고 있다. 퇴직 후 당장은 아니지만 딸이 결혼하면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파트를 처분하고 수도권 외곽으로 옮길 생각이다. 전원주택을 짓고 남는 돈으로는 매달 월세가 나오는 소형 오피스텔이나 상가에 투자할 계획이다. 베이비부머들이 은퇴하더라도 당장 주택을 처분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박원갑 부동산1번지 연구소장은 "우리나라 사람들은 집에 대한 집착이 강해 마지막까지 집 1채만은 지키려는 성향이 두드러질 것"이라며 "은퇴 직후 바로 집을 처분하기보다 한동안 퇴직금, 예금, 재취업 등으로 생활자금을 융통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택연금 가입현황도 이같은 분석에 힘을 실어준다. 국내 주택연금 가입자의 평균연령은 73세로 은퇴 후 약 15∼20년 뒤 주택을 유동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형목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연금부 팀장은 "주택연금은 2007년 출시 이후 가입자가 꾸준히 늘고 있지만 70∼80대가 대부분"이라며 "60대 초반에 주택을 맡기는 비율은 높지 않다"고 설명했다. 은퇴 직후엔 주택규모를 줄이거나 가격을 낮춰 옮기는 '다운사이징'에 대한 관심도 덜하다. 장경영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연령대별 1인당 주거면적 통계를 살펴보면 60대 이상의 주거면적이 40, 50대보다 넓다"며 "종전보다 좁은 집에 살거나 집값이 싼 새로운 동네로 이사하는 것 모두 생활여건이 악화되는 만큼 은퇴 후 소득이 감소하더라도 다운사이징을 꺼리는 분위기가 뚜렷하다"고 분석했다. 다만 부동산에 편중된 자산의 구조조정이 시급하다는 조언도 있다. 이상영 명지대학교 부동산경영학과 교수는 "우리나라 베이비붐 세대는 부채를 지고 높은 가격에 주택을 매입해 은퇴 후에도 부동산 자산비중을 바로 줄이기 어렵다"며 "집값 약세가 장기화되고 소득·연금이 충분치 않으면 부동산에 편중된 자산은 노후에 불편을 초래할 가능성이 큰 만큼 가계자산의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730만 주택자산가 은퇴…"집값 폭락 오나?" [기획 - 부동산시장 큰손 '베이비부머'의 은퇴(1)]
http://stock.mt.co.kr/view/mtview.php?no=2011082914000858933&type=1&outlink=2&EVEC
편집자주|1955∼63년에 태어난 이른바 '1차 베이비붐' 세대는 728만명(전체 인구의 14.9%)에 달한다. 지난해에는 55년에 태어난 한국의 첫 '베이비부머'가 55세를 맞아 은퇴하기 시작했다. 여기에 이들의 40% 이상인 임금근로자(약 300만명)가 앞으로 7∼8년간 직장에서 줄줄이 은퇴할 전망이다. 우리 사회의 주축인 베이비부머의 집단퇴장은 경제적으로 큰 파장을 낳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자산의 70∼80%를 부동산으로 보유한 이들의 은퇴는 주택시장, 더 나아가 부동산시장 전체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이란 견해가 지배적이다. 1차 베이비붐 세대의 현재 모습과 이들의 은퇴가 부동산시장에 미칠 영향을 짚어본다.
- 1차 베이비붐 세대 은퇴 시작…7~8년 지속될 것 - 평균 총 자산 3.3억…금융자산은 22% 美·日 절반 - 연금제도 미흡 노후위해 집처분땐 부동산 직격탄 - 일부 '집=마지막 보루' 월세전환 높아져 집값유지
내년이면 목동아파트 전세계약이 끝나지만 부부만 살기에는 너무 크다. 앞으로 최소 6년간 둘째딸의 학비로 목돈이 들어가는 것도 부담이다. 하지만 막상 집을 팔자니 나이들어 좁은 셋집을 전전해야 하나 싶어 망설여진다. #대기업 계열사에 다니던 박준수씨(가명·54)는 지난 5월 퇴직했다. 대학졸업 후 입사해 만 26년을 근무하다 정년을 1년 남긴 시점에 명예퇴직금을 받아 회사를 나왔다. 중간정산해 쓰고 남은 퇴직금과 명퇴금을 합해 서울 동작구 상도동 105㎡ 아파트의 담보대출금을 갚고나니 남은 재산은 6억원 안팎인 아파트가 전부다. 재취업을 하려고 이력서를 넣고 면접을 보러다니지만 새 직장을 구하지 못해 얼마되지 않는 예금에서 3개월째 생활비를 까먹고 있다. 어떻게든 집은 지키고 싶은데 국민연금이 나오려면 62세까지 기다려야 한다. 아들과 딸의 결혼비용 등 목돈 들어갈 일을 생각하면 벌써부터 겁이 난다. 국내 주요 경제활동인구인 1차 베이비붐 세대는 대부분 자산의 70∼80% 이상을 부동산으로 보유해 은퇴자금으로 부동산을 활용할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잇따른다. 우리나라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 연금제도가 덜 발달한데다 주택담보대출 부담, 소득감소, 고령화 등으로 자산건전성이 악화돼 주택 등 부동산 자산을 처분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하지만 베이비부머의 은퇴가 당장 부동산시장의 지각변동으로 이어지진 않을 것이라는 견해도 팽팽히 맞선다. '집=마지막 보루'라는 인식이 강해 은퇴했더라도 당장 처분하기보다 일단 보유하는 경우가 많다는 분석이다. 베이비부머가 기존 주택을 처분하더라도 소형주택을 다시 얻거나 수익형 부동산에 투자할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도 있다. ◇부동산에 편중된 자산…노후준비 충분치 않아 2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말 현재 1차 베이비붐 세대의 평균 총자산은 3억3000만원(부동산 2억4700만원, 금융자산 7300만원, 기타 1000만원)으로 전체가구 평균치(2억7000만원)를 웃돈다. 총자산 가운데 부동산 비중이 74.8%에 달하는 반면 금융자산은 22%에 불과하다. 이는 일본 베이비붐 세대에 해당하는 '단카이 세대'(1946∼49년생)나 미국 베이비붐 세대(1946∼64년생)의 금융자산 비중이 총자산의 각각 45%, 63%인 것과 비교하면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 3월 국민연금연구원, 보험연구원 등과 공동조사한 '베이비붐 세대 실태조사 및 정책현황 분석'이란 최종보고서도 베이비부머 31.4%가 노후생활 안정을 위해 최소한 수입을 얻지 못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노후생활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베이비부머가 노후에 필요한 수입은 월평균 200만원 안팎이지만 26.1%는 확보 가능한 수입이 100만원 미만이었다.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에 가입하지 않은 베이비부머가 13.7%, 개인연금에 가입하지 않은 비율은 48.1%로 절반에 육박했다. 베이비부머간 격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 노화·고령사회연구소가 전국 15개 시·도(제주 제외) 베이비부머 466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의 베이비부머' 연구결과에 따르면 상위 10%는 은퇴용도로 매달 180만원을 저축하지만 전체 베이비부머의 월평균 저축액은 17만원에 불과했다. ◇자녀·부모 짊어진 고달픈 세대…은퇴 후 믿을 건 '임대수입' 중소기업 임원인 윤병만씨(가명·55)는 그동안 전세를 놓았던 서울 광진구 구의동 아파트를 보증부월세로 바꿨다. 전세금이 크게 올라 1억원 가까이 보증금을 올려 받을 수 있지만 월세 100만원을 선택했다. 내년에 정년을 맞으면 고정적 수입이 없어지는 만큼 목돈보다는 매달 들어오는 현금을 택한 것이다. 시골에 계신 부모님 생활비와 두 아들의 대학등록금 등 아직 돈 들어갈 일이 많아서다. 1차 베이비붐 세대는 대부분 은퇴 후에도 자녀의 학비와 결혼비용, 부모 부양 등으로 경제적 부담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2008~2009년 사회조사를 통해 본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에 따르면 베이비부머의 99.1%가 "자녀의 대학교육비를 지원해야 한다"고 답했다. "자녀의 결혼비용까지 지원해야 한다"는 응답도 90%에 달했다. 베이비부머 부모 가운데 생활비를 스스로 해결하는 비율은 30%에 불과했다. 베이비부머 10명 중 7명은 부모의 생활비를 책임진다는 뜻이다. 전문가들은 1차 베이비붐 세대가 임대수입이 가능한 부동산에 관심을 갖는 것은 자녀와 부모를 모두 챙기려면 생활비 외에 고정수입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김희선 부동산114 전무는 "베이비부머의 은퇴가 시작되면서 안정적인 소득원 발굴을 위해 기존 전세주택을 보증부월세로 전환하거나 수익형 부동산에 관심을 갖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부동산경기 침체로 전세보증금을 이용한 레버리지 효과가 감소한데다 예금 펀드 등 금융상품 이자수입으로는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는 사람이 많다"고 말했다. 부동산 운용형태가 은퇴시점인 50대 이후부터 크게 달라지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올 초 미래에셋부동산연구소가 발행한 '가구의 부동산 자산활용' 보고서에 따르면 30∼40대의 70∼80%가 비거주용 주택을 전세로 내줬지만 50대와 60대는 절반을 보증부월세로 활용했다. 70대는 보증부월세 비율이 약 70%로 높아졌다. |
어느 베이비부머의 슬픈 추석
http://media.daum.net/economic/view.html?cateid=100019&newsid=20110910053204630&p=moneytoday
[머니투데이 송지유기자][편집자주] '1차 베이비붐 세대'(1955∼63년생)의 은퇴가 시작됐다. 한국전쟁 이후 태어나 산업화 초기 유년기를 보낸 이들. 콩나물시루같은 교실에서 수업을 받고 소 판 돈으로 대학을 다닌 사람들. 자신의 노후준비보다 부모 봉양과 자녀 뒷바라지가 우선이라고 생각하는 세대. 728만명. 전체 인구의 14.9%에 달하는 이들의 '집단퇴장'은 한국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른다. 2011년 9월 사는 곳, 하는 일이 제각기 다른 '베이비부머' 4인의 현실을 시리즈로 들여다본다.
[[은퇴시작한 베이비부머 4인4색 < 1 > ]올초 은퇴한 대기업 임원]
-억척같이 살다 50대 조기은퇴
-차례 비용에 조카 용돈도 부담
-아내에 집 지켜주고 싶지만…
"추석을 맞는 기분이 작년같지 않네요. 가족·친지들은 아직 제가 퇴직한 지 모르거든요. 혹시 이번 명절때 (퇴직 사실이)알려지면 다들 한마디씩 할텐데…. 5개월째 예금까먹고 있자니 차례 비용에 조카들 용돈줄 일도 부담됩니다. 동창 모임에 지인들 경조사는 왜 이리 많은지…. 새 일자리 구하고 싶은데 마음처럼 쉽지 않네요. 아이들 학업·결혼 비용 마련하려면 펀드·보험 깨는걸로는 턱없이 부족하니 큰일입니다."
대기업 임원으로 근무하다 지난 3월말 퇴직한 김윤수씨(가명·56)는 고향 가는 발길이 무겁다. 대기업 임원까지 지냈으니 퇴직후 생활도 넉넉할 것이라고 다들 생각하지만 그렇지만도 않다. 예금 4000만원이 있지만 불안하다. 큰 딸은 대학 졸업후 직장생활을 하고 있지만 아들 2명은 아직 대학 공부도 마치지 못했다. 군복무중인 막내아들 대학까지 졸업시키려면 앞으로 5년은 매학기 학비걱정을 해야 한다. 매달 조금씩 납입해온 연금저축과 보험이 있지만 노후를 위해 남겨둬야 한다. 퇴직금으로 받은 목돈 대부분은 현재 거주중인 경기 용인시 수지구 아파트 주택담보대출금으로 상환했고, 나머지는 펀드에 투자했다.
김씨는 요즘 친구·동창 모임에 갈때 광역버스를 탄다. 올초까지만해도 회사에서 지급한 중형세단을 몰았지만 요즘엔 아파트 주차장에 승용차를 세워놓고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김씨가 좋아하는 약속장소는 용인 집 근처에서 광역버스 노선이 많은 서울 강남역이다. 강북은 이동시간이 긴데다 저녁자리가 길어질 경우 대중교통이 끊겨 택시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부담스럽다.
술자리를 좋아하는 그지만 퇴직한 후에는 친구들을 먼저 불러낸 적이 없다. 통상 먼저 만나자고 모임을 주도한 친구가 밥값이나 술값을 내야해서다. 하지만 매번 얻어먹을 수만은 없으니 자연스럽게 모임에 참여하는 횟수가 줄고 있다.
지인들의 부모님 장례식, 자녀들 결혼식 소식이 잇따르는 나이. 고정수입이 없는 김씨에겐 한달 평균 2∼3번씩 내야 하는 경조사비용도 부담이다. '국내 굴지의 대기업 전 임원', '고향 동네에서 가장 출세한 6남매네 큰아들' 등 그에게 붙어 있는 꼬리표 때문에 그는 지난주에도 친척 결혼식에 두툼한 봉투를 내밀었다.
그의 꼬리표는 재취업 걸림돌로도 작용한다. 퇴직 후 등산, 여행 등을 하며 꼬박 한달을 쉬었다. 지난 5월부터는 이력서를 들고 돌아다녔지만 아직 적당한 일자리를 찾지 못했다.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고 굳게 마음을 먹었지만 우리 사회는 퇴직한 50대 중반에게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중소기업 수십곳에서 면접을 봤지만 "명색이 대기업 전무였던 사람이 이런 일을 할 수 있겠나", "원하는 월급을 맞춰 줄 수 없다" 등 거절이 이어졌다.
한 때 김씨의 집 거실 창에는 커튼이 없었다. 많게는 일년에 2번, 적게는 2년에 1번 꼴로 이사를 했기 때문에 부인이 일부러 커튼을 달지 않은 것이다. 형편이 어려운 집안 장남으로 태어나 부모님의 도움없이 서울 외곽 사글세방에서 신혼생활을 시작한 탓이었일까. 부인은 그야말로 억척스럽게 돈을 모았고 집을 옮겨 다녔다.
결혼생활 30년. 김씨 부부가 보유한 자산은 경기 용인 169㎡ 아파트(매매가 8억원, 가족과 함께 거주중)와 분당 59㎡ 아파트(매매가 3억원, 현재 2억원에 전세계약) 등 부동산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 다행히 대출금 등 부채는 없지만 자녀들의 결혼비용 등 목돈이 들어갈 일이 많아 조만간 분당 소형아파트를 처분할 계획이다.
회복할 기미를 보이지 않는 집값, 몇개월새 잔고가 확 줄어든 펀드도 김씨의 고민이다. 부인이 '내 생애 마지막 집'이라며 공을 들여 구입한 용인 아파트는 분양가(10억원)에서 2억원이나 떨어졌다. 퇴직금 일부를 떼 가입한 펀드(거치식)는 최근 한 달새 잔고가 절반 이상 날아갔다.
김씨는 부인의 애착이 큰 용인 집 한채 만큼은 마지막까지 지켜주고 싶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자신이 없다. '정말 어려워져서 급하게 집을 처분하는 날이 오지
않기를….' 김씨의 간절한 바람이다.
[머니투데이 송지유기자][편집자주] '1차 베이비붐 세대'(1955∼63년생)의 은퇴가 시작됐다. 한국전쟁 이후 태어나 산업화 초기 유년기를 보낸 이들. 콩나물시루같은 교실에서 수업을 받고 소 판 돈으로 대학을 다닌 사람들. 자신의 노후준비보다 부모 봉양과 자녀 뒷바라지가 우선이라고 생각하는 세대. 728만명. 전체 인구의 14.9%에 달하는 이들의 '집단퇴장'은 한국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른다. 2011년 9월 사는 곳, 하는 일이 제각기 다른 '베이비부머' 4인의 현실을 시리즈로 들여다본다.
[[은퇴시작한 베이비부머 4인4색 < 1 > ]올초 은퇴한 대기업 임원]
-억척같이 살다 50대 조기은퇴
-차례 비용에 조카 용돈도 부담
-아내에 집 지켜주고 싶지만…
"추석을 맞는 기분이 작년같지 않네요. 가족·친지들은 아직 제가 퇴직한 지 모르거든요. 혹시 이번 명절때 (퇴직 사실이)알려지면 다들 한마디씩 할텐데…. 5개월째 예금까먹고 있자니 차례 비용에 조카들 용돈줄 일도 부담됩니다. 동창 모임에 지인들 경조사는 왜 이리 많은지…. 새 일자리 구하고 싶은데 마음처럼 쉽지 않네요. 아이들 학업·결혼 비용 마련하려면 펀드·보험 깨는걸로는 턱없이 부족하니 큰일입니다."
김씨는 요즘 친구·동창 모임에 갈때 광역버스를 탄다. 올초까지만해도 회사에서 지급한 중형세단을 몰았지만 요즘엔 아파트 주차장에 승용차를 세워놓고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김씨가 좋아하는 약속장소는 용인 집 근처에서 광역버스 노선이 많은 서울 강남역이다. 강북은 이동시간이 긴데다 저녁자리가 길어질 경우 대중교통이 끊겨 택시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부담스럽다.
술자리를 좋아하는 그지만 퇴직한 후에는 친구들을 먼저 불러낸 적이 없다. 통상 먼저 만나자고 모임을 주도한 친구가 밥값이나 술값을 내야해서다. 하지만 매번 얻어먹을 수만은 없으니 자연스럽게 모임에 참여하는 횟수가 줄고 있다.
지인들의 부모님 장례식, 자녀들 결혼식 소식이 잇따르는 나이. 고정수입이 없는 김씨에겐 한달 평균 2∼3번씩 내야 하는 경조사비용도 부담이다. '국내 굴지의 대기업 전 임원', '고향 동네에서 가장 출세한 6남매네 큰아들' 등 그에게 붙어 있는 꼬리표 때문에 그는 지난주에도 친척 결혼식에 두툼한 봉투를 내밀었다.
그의 꼬리표는 재취업 걸림돌로도 작용한다. 퇴직 후 등산, 여행 등을 하며 꼬박 한달을 쉬었다. 지난 5월부터는 이력서를 들고 돌아다녔지만 아직 적당한 일자리를 찾지 못했다.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고 굳게 마음을 먹었지만 우리 사회는 퇴직한 50대 중반에게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중소기업 수십곳에서 면접을 봤지만 "명색이 대기업 전무였던 사람이 이런 일을 할 수 있겠나", "원하는 월급을 맞춰 줄 수 없다" 등 거절이 이어졌다.
한 때 김씨의 집 거실 창에는 커튼이 없었다. 많게는 일년에 2번, 적게는 2년에 1번 꼴로 이사를 했기 때문에 부인이 일부러 커튼을 달지 않은 것이다. 형편이 어려운 집안 장남으로 태어나 부모님의 도움없이 서울 외곽 사글세방에서 신혼생활을 시작한 탓이었일까. 부인은 그야말로 억척스럽게 돈을 모았고 집을 옮겨 다녔다.
결혼생활 30년. 김씨 부부가 보유한 자산은 경기 용인 169㎡ 아파트(매매가 8억원, 가족과 함께 거주중)와 분당 59㎡ 아파트(매매가 3억원, 현재 2억원에 전세계약) 등 부동산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 다행히 대출금 등 부채는 없지만 자녀들의 결혼비용 등 목돈이 들어갈 일이 많아 조만간 분당 소형아파트를 처분할 계획이다.
회복할 기미를 보이지 않는 집값, 몇개월새 잔고가 확 줄어든 펀드도 김씨의 고민이다. 부인이 '내 생애 마지막 집'이라며 공을 들여 구입한 용인 아파트는 분양가(10억원)에서 2억원이나 떨어졌다. 퇴직금 일부를 떼 가입한 펀드(거치식)는 최근 한 달새 잔고가 절반 이상 날아갔다.
김씨는 부인의 애착이 큰 용인 집 한채 만큼은 마지막까지 지켜주고 싶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자신이 없다. '정말 어려워져서 급하게 집을 처분하는 날이 오지
않기를….' 김씨의 간절한 바람이다.
이상기후에 노인사망 25% ↑ 고령화 '사망쇼크' 시작됐다
http://media.daum.net/economic/finance/view.html?cateid=1037&newsid=20110908211927047&p=hankooki&RIGHT_COMM=R12
2010년 사망원인 통계
80대 뇌혈관 질환 사망 1만명
자살률도 20~40대의 1.5배
한국 사회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 사회안전망에서 소외된 노인들의 사망률이 치솟고 있다. 폭염과 한파 등 이상기후를 견디지 못해 뇌혈관질환으로 사망한 노인이 1만명을 넘어섰고, 80대 자살률은 20~40대 자살률의 1.5배를 웃돈다. '평균수명 100세 시대'가 다가오고 있지만, 지금처럼 노인들의 건강을 방치할 경우 '사망 쇼크'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0년 사망원인 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총 사망자 수는 25만5,403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원인은 80세 이상 고령 사망자의 급격한 증가다. 다른 연령층의 사망률은 모두 감소했지만, 유독 80세 이상 사망률은 10만명당 9,423.9명으로 2009년에 비해 25.2% 치솟았다. 통계청은 "지난해 폭염, 한파 등 이상기후 탓에 사망자가 크게 늘었다"며 "고령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중ㆍ장기적으로 이런 추세는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실제 노인들에게 한파와 폭염 등 이상기후는 치명적이다. 한파는 뇌혈관질환과 폐렴 등을, 폭염은 심근경색 등을 유발하기 쉽다. 지난해 한파주의보(섭씨 영하 12도 이하)가 발령된 날은 전년(2일)보다 6배나 많았고, 7월 평균 낮 최고기온은 평년보다 1도나 높았다.
이 때문에 80세 이상 노인 가운데 뇌졸중, 뇌경색 등 뇌혈관질환으로 사망한 사람이 지난해 1만명을 훌쩍 넘었고, 심근경색 사망자도 3,300명에 달했다. 후진국 병으로 인식돼 온 폐결핵 사망자도 꾸준히 늘고 있고, 특히 폐렴으로 사망하는 노인은 10년 새 3배(1,571→4,526명)나 늘었다. 의료와 돌봄의 사각지대에 방치된 고령자들의 고달픈 처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노인들에 대한 무관심은 자살 증가로도 이어졌다. 80세 이상 자살자는 지난해 1,119명으로 인구 10만명당 123.3명에 달했다. 20~40대를 합친 것(인구 10만명당 88.1명)보다 1.5배나 많은데도 청년 자살에 가려 제대로 주목 받지 못하고 있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이미 전체인구의 10%를 넘어섰고, 80세 이상도 100만명(인구의 2%)에 육박하면서 노인 돌봄 서비스의 필요성은 어느 때보다 높다. 신호성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 사회는 이상기후에 따른 노인 사망에 대해 이제서야 관심을 갖기 시작하는 수준"이라며 "자치단체들이 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노인 건강을 돌볼 수 있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은 아직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노인 자살에 대한 무관심은 우려할만한 수준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비록 자살예방기본법이 국회를 통과했지만 아직 우리나라에 노인 자살 예방정책은 없다고 봐야 한다"면서 "자살의 원인을 파악하고 노인들이 상담할 수 있는 곳을 마련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은 2000년대 초반부터 상담, 치료 등 자살 예방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벌여 10년 이상 증가세를 보이던 노인 자살률을 끌어내렸다.
80대 뇌혈관 질환 사망 1만명
자살률도 20~40대의 1.5배
한국 사회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 사회안전망에서 소외된 노인들의 사망률이 치솟고 있다. 폭염과 한파 등 이상기후를 견디지 못해 뇌혈관질환으로 사망한 노인이 1만명을 넘어섰고, 80대 자살률은 20~40대 자살률의 1.5배를 웃돈다. '평균수명 100세 시대'가 다가오고 있지만, 지금처럼 노인들의 건강을 방치할 경우 '사망 쇼크'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 노인들에게 한파와 폭염 등 이상기후는 치명적이다. 한파는 뇌혈관질환과 폐렴 등을, 폭염은 심근경색 등을 유발하기 쉽다. 지난해 한파주의보(섭씨 영하 12도 이하)가 발령된 날은 전년(2일)보다 6배나 많았고, 7월 평균 낮 최고기온은 평년보다 1도나 높았다.
이 때문에 80세 이상 노인 가운데 뇌졸중, 뇌경색 등 뇌혈관질환으로 사망한 사람이 지난해 1만명을 훌쩍 넘었고, 심근경색 사망자도 3,300명에 달했다. 후진국 병으로 인식돼 온 폐결핵 사망자도 꾸준히 늘고 있고, 특히 폐렴으로 사망하는 노인은 10년 새 3배(1,571→4,526명)나 늘었다. 의료와 돌봄의 사각지대에 방치된 고령자들의 고달픈 처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노인들에 대한 무관심은 자살 증가로도 이어졌다. 80세 이상 자살자는 지난해 1,119명으로 인구 10만명당 123.3명에 달했다. 20~40대를 합친 것(인구 10만명당 88.1명)보다 1.5배나 많은데도 청년 자살에 가려 제대로 주목 받지 못하고 있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이미 전체인구의 10%를 넘어섰고, 80세 이상도 100만명(인구의 2%)에 육박하면서 노인 돌봄 서비스의 필요성은 어느 때보다 높다. 신호성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 사회는 이상기후에 따른 노인 사망에 대해 이제서야 관심을 갖기 시작하는 수준"이라며 "자치단체들이 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노인 건강을 돌볼 수 있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은 아직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노인 자살에 대한 무관심은 우려할만한 수준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비록 자살예방기본법이 국회를 통과했지만 아직 우리나라에 노인 자살 예방정책은 없다고 봐야 한다"면서 "자살의 원인을 파악하고 노인들이 상담할 수 있는 곳을 마련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은 2000년대 초반부터 상담, 치료 등 자살 예방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벌여 10년 이상 증가세를 보이던 노인 자살률을 끌어내렸다.
무슨일 생길라 ‘동작감시센서’
방 문턱 없애 휠체어 들락날락 강남 세곡동 국내 첫 '노인전용 아파트' 가보니
http://media.daum.net/society/nation/view.html?cateid=100011&newsid=20110707225015828&p=hani
[한겨레]
7일 오전 입주를 앞둔 서울 강남구 세곡동 세곡 4단지 4층 84㎡ 규모의 아파트 현관에 들어서니 호텔에나 있을 법한 카드키 센서가 벽에 붙어 있었다.
외출할 때 카드키를 빼면 집 전체 전원이 저절로 꺼지는 센서가 세곡 4단지에 설치된 이유는 고령자 맞춤형 전용단지이기 때문이다. 카드키 센서는 집중력이 떨어지는 고령자가 전기·전자 제품의 전원을 끄지 않고 외출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누전으로 인한 화재를 막기 위한 안전 장치다.
아파트 내부에 들어서자 고령자 신체특성에 맞춘 공간과 시설들이 한눈에 띄었다. 싱크대와 세면대는 높낮이 조절용으로 설치해 고령자의 신체특성에 맞게 이용이 가능하고, 현관·욕실·방 등 내부 공간에는 휠체어 출입이 쉽도록 문턱이 아예 없다.
노인 입주자에게는 응급 상황 발생 시 관리사무실 등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휴대용 비상호출기가 지급되고, 거실에는 '동작감시센서'를 설치해 48시간 이상 사람의 움직임이 없을 경우 관리사무소에 자동 통보되는 2중 구호시스템을 구축했다.
아파트 복도 폭은 휠체어 두대가 엇갈려 다닐 수 있도록 다른 아파트 복도에 견줘 넓고, 단지 안에는 휘트니스센터, 게이트볼장, 경로당 등이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세곡1~5단지 가운데 세곡 4단지 8개동 407세대 전체를 주거, 안전 환경과 문화 시설 등이 노인에게 최적화된 고령자 맞춤형 전용단지로 국내 최초로 시범 조성했다고 밝히고, 출입기자들과 함께 세곡4단지를 둘러봤다.
고령자 맞춤형 전용단지는 장기전세주택(시프트) 229세대와 저소득층 노인의 주거향상을 위한 국민임대주택 178세대로 이뤄졌다. 장기전세주택은 전용면적 59㎡와 84㎡로 구성되며, 국민임대주택은 전용면적 39㎡와 49㎡로 구성된다. 지난달 22일부터 입주를 시작해 현재 25.1%인 102가구가 입주했다.
입주자격은 서울에 사는 65세 이상 무주택 세대주로, 전용면적 59㎡ 이하의 경우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의 70% 미만, 84㎡의 경우 도시근로자 가구 월 평균소득의 150% 미만이다.
시는 2015년까지 천왕 등 7개 지구, 35개 단지 1~2층에 고령자 임대주택 1673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7일 오전 입주를 앞둔 서울 강남구 세곡동 세곡 4단지 4층 84㎡ 규모의 아파트 현관에 들어서니 호텔에나 있을 법한 카드키 센서가 벽에 붙어 있었다.
외출할 때 카드키를 빼면 집 전체 전원이 저절로 꺼지는 센서가 세곡 4단지에 설치된 이유는 고령자 맞춤형 전용단지이기 때문이다. 카드키 센서는 집중력이 떨어지는 고령자가 전기·전자 제품의 전원을 끄지 않고 외출했을 때 일어날 수 있는 누전으로 인한 화재를 막기 위한 안전 장치다.
아파트 내부에 들어서자 고령자 신체특성에 맞춘 공간과 시설들이 한눈에 띄었다. 싱크대와 세면대는 높낮이 조절용으로 설치해 고령자의 신체특성에 맞게 이용이 가능하고, 현관·욕실·방 등 내부 공간에는 휠체어 출입이 쉽도록 문턱이 아예 없다.
노인 입주자에게는 응급 상황 발생 시 관리사무실 등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휴대용 비상호출기가 지급되고, 거실에는 '동작감시센서'를 설치해 48시간 이상 사람의 움직임이 없을 경우 관리사무소에 자동 통보되는 2중 구호시스템을 구축했다.
아파트 복도 폭은 휠체어 두대가 엇갈려 다닐 수 있도록 다른 아파트 복도에 견줘 넓고, 단지 안에는 휘트니스센터, 게이트볼장, 경로당 등이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세곡1~5단지 가운데 세곡 4단지 8개동 407세대 전체를 주거, 안전 환경과 문화 시설 등이 노인에게 최적화된 고령자 맞춤형 전용단지로 국내 최초로 시범 조성했다고 밝히고, 출입기자들과 함께 세곡4단지를 둘러봤다.
고령자 맞춤형 전용단지는 장기전세주택(시프트) 229세대와 저소득층 노인의 주거향상을 위한 국민임대주택 178세대로 이뤄졌다. 장기전세주택은 전용면적 59㎡와 84㎡로 구성되며, 국민임대주택은 전용면적 39㎡와 49㎡로 구성된다. 지난달 22일부터 입주를 시작해 현재 25.1%인 102가구가 입주했다.
입주자격은 서울에 사는 65세 이상 무주택 세대주로, 전용면적 59㎡ 이하의 경우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소득의 70% 미만, 84㎡의 경우 도시근로자 가구 월 평균소득의 150% 미만이다.
시는 2015년까지 천왕 등 7개 지구, 35개 단지 1~2층에 고령자 임대주택 1673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늦은 결혼·독거노인… 가족이 줄어든다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view.html?cateid=1067&newsid=20110707201112212&p=segye&RIGHT_COMM=R3
2010 인구주택 총조사
1·2인가구 48.2%로 늘어나…4인가구 비율은 역대 최저치
[세계일보]
한국의 대표적 가구 구성이 '4인 가구'에서 '2인 가구'로 바뀌었다. 부부만 사는 1세대 가구가 느는 가구분화가 이어지고 1인 가구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10 인구주택총조사'의 가구·주택부문 전수집계 결과에 따르면 2인 가구 비율은 1990년에는 13.8%에 그쳤지만 1995년 16.9%, 2000년 19.1%, 2005년 22.2%, 2010년 24.3%로 꾸준히 높아졌다.
1인 가구 역시 1990년 102만1000가구(9.0%)에서 2010년 414만2000가구(23.9%)로 20년 만에 4배 이상 늘었다.
반면 총 가구에서 4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1990년 29.5%, 1995년 31.7%, 2000년 31.1%, 2005년 27.0%를 차지해 가장 주된 가구유형이었지만 지난해에는 22.5%로 비중이 뚝 떨어져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이처럼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이유로는 늦은 결혼과 혼인 감소, 이혼 및 혼자 사는 노인의 증가와 관련이 깊다.
실제 1인 가구를 연령별로 보면 2005년에는 20대가 21.4%로 가장 많았으나 지난해는 70세 이상이 19.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해 홀로 사는 노인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70세 이상에 이어 30대가 19.1%였고, 20대가 18.4%를 차지했다.
핵가족 가구 수 역시 2005년 1033만1000가구에서 지난해는 1068만2000가구로 35만1000가구가 증가했다.
하지만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핵가족 가구 비율은 61.6%로 2005년(65.0%)보다 3.4%포인트 줄었다.
핵가족을 유형별로 보면 부부 가구는 5년 전보다 18.3% 증가하고 '부+미혼자녀'와 '모+미혼자녀'가 각각 21.1%, 15.1% 늘었으나 '부부+미혼자녀'는 4.3% 감소했다.
가구의 소가족화와 분화 등으로 가구증가율이 인구증가율보다 높았다. 2005년 대비 지난해의 인구증가율은 2.8%인데 가구증가율은 9.9%였다.
또 여성가구주 비율은 2005년 21.9%에서 지난해 25.9%로 늘었고, 가구주의 중위연령(중간연령)은 49.0세로 2005년(46.7세)보다 높아졌다. 배우자가 있는 가구주의 비율은 66.6%로 2005년 70.0%보다 3.4%가 줄었으며 미혼, 사별, 이혼가구는 각각 1.6%포인트, 0.2%포인트, 1.6%포인트 늘었다.
이밖에 일반가구는 1733만9000가구로 총 가구의 98.7%였으며 외국인가구(21만4000가구)는 1.2%를 차지했다. 집단가구(2만1000가구) 비율은 0.1%였다.
외국인가구는 2005년보다 152.9% 급증했고 집단가구도 25.2%나 늘었다. 집단가구는 남남끼리 함께 사는 6인 이상의 가구와 기숙사나 노인요양시설 등 사회시설에 집단으로 사는 가구다. 집단가구가 급증한 것은 노인 요양시설 등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귀전 기자 frei5922@segye.com
1·2인가구 48.2%로 늘어나…4인가구 비율은 역대 최저치
[세계일보]
한국의 대표적 가구 구성이 '4인 가구'에서 '2인 가구'로 바뀌었다. 부부만 사는 1세대 가구가 느는 가구분화가 이어지고 1인 가구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10 인구주택총조사'의 가구·주택부문 전수집계 결과에 따르면 2인 가구 비율은 1990년에는 13.8%에 그쳤지만 1995년 16.9%, 2000년 19.1%, 2005년 22.2%, 2010년 24.3%로 꾸준히 높아졌다.
반면 총 가구에서 4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1990년 29.5%, 1995년 31.7%, 2000년 31.1%, 2005년 27.0%를 차지해 가장 주된 가구유형이었지만 지난해에는 22.5%로 비중이 뚝 떨어져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이처럼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이유로는 늦은 결혼과 혼인 감소, 이혼 및 혼자 사는 노인의 증가와 관련이 깊다.
실제 1인 가구를 연령별로 보면 2005년에는 20대가 21.4%로 가장 많았으나 지난해는 70세 이상이 19.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해 홀로 사는 노인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70세 이상에 이어 30대가 19.1%였고, 20대가 18.4%를 차지했다.
핵가족 가구 수 역시 2005년 1033만1000가구에서 지난해는 1068만2000가구로 35만1000가구가 증가했다.
하지만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핵가족 가구 비율은 61.6%로 2005년(65.0%)보다 3.4%포인트 줄었다.
핵가족을 유형별로 보면 부부 가구는 5년 전보다 18.3% 증가하고 '부+미혼자녀'와 '모+미혼자녀'가 각각 21.1%, 15.1% 늘었으나 '부부+미혼자녀'는 4.3% 감소했다.
가구의 소가족화와 분화 등으로 가구증가율이 인구증가율보다 높았다. 2005년 대비 지난해의 인구증가율은 2.8%인데 가구증가율은 9.9%였다.
또 여성가구주 비율은 2005년 21.9%에서 지난해 25.9%로 늘었고, 가구주의 중위연령(중간연령)은 49.0세로 2005년(46.7세)보다 높아졌다. 배우자가 있는 가구주의 비율은 66.6%로 2005년 70.0%보다 3.4%가 줄었으며 미혼, 사별, 이혼가구는 각각 1.6%포인트, 0.2%포인트, 1.6%포인트 늘었다.
이밖에 일반가구는 1733만9000가구로 총 가구의 98.7%였으며 외국인가구(21만4000가구)는 1.2%를 차지했다. 집단가구(2만1000가구) 비율은 0.1%였다.
외국인가구는 2005년보다 152.9% 급증했고 집단가구도 25.2%나 늘었다. 집단가구는 남남끼리 함께 사는 6인 이상의 가구와 기숙사나 노인요양시설 등 사회시설에 집단으로 사는 가구다. 집단가구가 급증한 것은 노인 요양시설 등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귀전 기자 frei5922@segye.com
Korea- Foreigners' land ownership in S. Korea grows in 2010- 2011-02-24
http://www.koreaherald.com/business/Detail.jsp?newsMLId=20110224000602
Foreign ownership of South Korea's land rose slightly last year, but its growth rate remained relatively slow compared with levels tallied before the financial crisis, a government report showed Thursday.
Foreigners owned a total of 223.72 million square meters of land in the country at the end of last year, up 2.4 percent from a year earlier, according to the report by the land and transport ministry.
Land held by foreign investors was valued at around 31.5 trillion won (US$2.79 billion), accounting for 0.2 percent of the nation's total land value, the report showed.
Foreign land ownership had been on a sharp increase since 1998 when the government eased regulations on property purchases. From
1998 to 2001, land ownership by foreigners grew by an annual average rate of nearly 40 percent.
The rate had stabilized at around 6 percent since then, but the financial crisis of 2008 and 2009 slowed foreigners' land purchases here.
According to the report, investors from the United States held the most land with 128.55 million square meters, followed by those from Europe and Japan, who owned 34.47 million square meters and 19.48 million square meters, respectively. Chinese investors held 3.14 million square meters of land in South Korea, the report showed. (Yonhap News)
Foreigners owned a total of 223.72 million square meters of land in the country at the end of last year, up 2.4 percent from a year earlier, according to the report by the land and transport ministry.
Land held by foreign investors was valued at around 31.5 trillion won (US$2.79 billion), accounting for 0.2 percent of the nation's total land value, the report showed.
Foreign land ownership had been on a sharp increase since 1998 when the government eased regulations on property purchases. From
1998 to 2001, land ownership by foreigners grew by an annual average rate of nearly 40 percent.
The rate had stabilized at around 6 percent since then, but the financial crisis of 2008 and 2009 slowed foreigners' land purchases here.
According to the report, investors from the United States held the most land with 128.55 million square meters, followed by those from Europe and Japan, who owned 34.47 million square meters and 19.48 million square meters, respectively. Chinese investors held 3.14 million square meters of land in South Korea, the report showed. (Yonhap News)
Korea- Samsung establishes first social enterprise- 2011-02-24
http://www.koreaherald.com/business/Detail.jsp?newsMLId=20110224000811
Samsung Group established its first social enterprise in downtown Seoul on Thursday.
The enterprise called the “Hope Network” will hire about 70 teachers and offer education services to about 1,000 children from underprivileged families, company officials said.
It will start with the children registered in 30 different study rooms in the regions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instructors, who have experience in the sectors of social welfare, consulting and cultural arts, will teach them classes on humanities and offer projects to bring hope and nurture their talents, as well as caring programs.
Samsung Group announced last October that it will build seven social enterprises here for a three-year term to support underprivileged families.
The country’s top conglomerate plans to establish two more similar social enterprises by next year.
The enterprise called the “Hope Network” will hire about 70 teachers and offer education services to about 1,000 children from underprivileged families, company officials said.
It will start with the children registered in 30 different study rooms in the regions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instructors, who have experience in the sectors of social welfare, consulting and cultural arts, will teach them classes on humanities and offer projects to bring hope and nurture their talents, as well as caring programs.
Samsung Group announced last October that it will build seven social enterprises here for a three-year term to support underprivileged families.
The country’s top conglomerate plans to establish two more similar social enterprises by next year.
Korea- Unemployment rate drops to 3.8% in Jan.- 2011-02-16
http://www.koreaherald.com/business/Detail.jsp?newsMLId=20110216000667
Korea’s jobless rate fell in January from a year earlier as the non-farm private sector expanded recruitment amid the economic recovery, a government report showed Wednesday.
The jobless rate was 3.8 percent last month, down from 5 percent from a year earlier, according to the report by Statistics Korea. But it was up from the previous month’s 3.5 percent.
The number of working people stood at 23.19 million last month, up 331,000 from a year earlier, the report showed, keeping on-year job creation over the 300,000 mark for the fourth straight month.
The latest job data, however, offered mixed signals as unemployment remains significantly high among younger people. The seasonally adjusted jobless rate also inched up to 3.6 percent from 3.5 percent in December.
“Job growth continued mainly in the non-farm sector such as manufacturing,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s, and science and technology,” the agency said in the report.
The manufacturing sector led the overall job creation by adding 224,000 positions. Health and social welfare, and science and technology areas added 189,000 and 78,000, respectively, the report showed.
A protracted cold spell, however, dampened recruitment in the agriculture and fisheries sector, which lost 104,000 jobs.
The number of people who remained out of work despite their efforts to find jobs fell to 918,000 from the 1.21 million tallied during the same month a year earlier, when the nation was still faced with the fallout from the global economic slowdown.
The latest job figures demonstrate that the private sector continues to increase hiring, a turnaround from the past few years when it remained reluctant to offer jobs amid uncertain business conditions, observers said.
The job market picture still remains bleak for many young people as unemployment among the age group is much higher than the headline rate.
According to the report, the jobless rate among people aged
15-29 surged to 8.5 percent last month from the previous month’s 8 percent, though it dropped from a year earlier, when it stood at 9.3 percent.
Job creation is a top priority for the government’s economic policies this year as the nation is still striving to achieve a sustained economic recovery.
The government said earlier that it aims to create 280,000 jobs this year.
For the target, the government has to achieve 5 percent economic growth and stabilize inflation at around 3 percent this year, outlooks that many experts see as “too optimistic” given the current economic conditions at home and abroad. (Yonhap News)
The jobless rate was 3.8 percent last month, down from 5 percent from a year earlier, according to the report by Statistics Korea. But it was up from the previous month’s 3.5 percent.
The number of working people stood at 23.19 million last month, up 331,000 from a year earlier, the report showed, keeping on-year job creation over the 300,000 mark for the fourth straight month.
The latest job data, however, offered mixed signals as unemployment remains significantly high among younger people. The seasonally adjusted jobless rate also inched up to 3.6 percent from 3.5 percent in December.
“Job growth continued mainly in the non-farm sector such as manufacturing,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s, and science and technology,” the agency said in the report.
The manufacturing sector led the overall job creation by adding 224,000 positions. Health and social welfare, and science and technology areas added 189,000 and 78,000, respectively, the report showed.
A protracted cold spell, however, dampened recruitment in the agriculture and fisheries sector, which lost 104,000 jobs.
The number of people who remained out of work despite their efforts to find jobs fell to 918,000 from the 1.21 million tallied during the same month a year earlier, when the nation was still faced with the fallout from the global economic slowdown.
The latest job figures demonstrate that the private sector continues to increase hiring, a turnaround from the past few years when it remained reluctant to offer jobs amid uncertain business conditions, observers said.
The job market picture still remains bleak for many young people as unemployment among the age group is much higher than the headline rate.
According to the report, the jobless rate among people aged
15-29 surged to 8.5 percent last month from the previous month’s 8 percent, though it dropped from a year earlier, when it stood at 9.3 percent.
Job creation is a top priority for the government’s economic policies this year as the nation is still striving to achieve a sustained economic recovery.
The government said earlier that it aims to create 280,000 jobs this year.
For the target, the government has to achieve 5 percent economic growth and stabilize inflation at around 3 percent this year, outlooks that many experts see as “too optimistic” given the current economic conditions at home and abroad. (Yonhap News)
Korea- Korea to join G20 inflation control- 2011-02-23
http://www.koreaherald.com/business/Detail.jsp?newsMLId=20110223000783
Finance minister calls for policy focus on price stability
Korea will participate in the Group of 20’s efforts to control sharp price hikes in key commodities that have a direct bearing on economic growth and inflation, the government said Wednesday.
The finance ministry said playing a role in the G20 arrangement could allow Seoul to work with other countries to better cope with a rise in energy, grain and other commodity prices caused by supply and demand imbalances, and competition to secure adequate reserves.
“There is a considerable need for countries to work together to control market imbalances that can lead to sharp fluctuations in prices,” the ministry said.
In the past, Seoul had to work alone to respond to developments that took place abroad and beyond the control of local policies, it said.
“In the recent G20 ministerial meeting held in Paris, there was consensus that the recent hike in commodities prices needed to be tackled in a systematic manner,” it said.
The ministers representing the world’s advanced and large emerging countries agreed to do more to raise transparency in the natural gas and crude oil markets, and expand support for the agricultural sector through the Global Agriculture and Food Security Program.
Finance Minister Yoon Jeung-hyun said the recent surge in crude oil and other raw material prices was adding to already growing inflation pressures around the world.
“We are seeing that the recent upsurge in prices of raw materials such as crude oil put additional price growth pressure globally including in our country,” he said during a weekly meeting of senior economic officials.
“A rapid rise in inflation could lead to policy tightening in many countries and in turn hurt the global economic recovery,” a ministry statement quoted him as saying at the meeting.
Crude oil prices rose to their highest levels in more than two years Tuesday as the revolt against Libyan leader Moammar Gadhafi reduced production in Africa’s third-largest oil producer and spread concerns about future supply.
The government did not provide any additional steps to cushion the imported inflation at the meeting. Early this month, the government unveiled anti-inflation measures, including a freeze on public utility fares and delaying scheduled raises.
Korea will participate in the Group of 20’s efforts to control sharp price hikes in key commodities that have a direct bearing on economic growth and inflation, the government said Wednesday.
The finance ministry said playing a role in the G20 arrangement could allow Seoul to work with other countries to better cope with a rise in energy, grain and other commodity prices caused by supply and demand imbalances, and competition to secure adequate reserves.
“There is a considerable need for countries to work together to control market imbalances that can lead to sharp fluctuations in prices,” the ministry said.
In the past, Seoul had to work alone to respond to developments that took place abroad and beyond the control of local policies, it said.
“In the recent G20 ministerial meeting held in Paris, there was consensus that the recent hike in commodities prices needed to be tackled in a systematic manner,” it said.
The ministers representing the world’s advanced and large emerging countries agreed to do more to raise transparency in the natural gas and crude oil markets, and expand support for the agricultural sector through the Global Agriculture and Food Security Program.
Finance Minister Yoon Jeung-hyun said the recent surge in crude oil and other raw material prices was adding to already growing inflation pressures around the world.
“We are seeing that the recent upsurge in prices of raw materials such as crude oil put additional price growth pressure globally including in our country,” he said during a weekly meeting of senior economic officials.
“A rapid rise in inflation could lead to policy tightening in many countries and in turn hurt the global economic recovery,” a ministry statement quoted him as saying at the meeting.
Crude oil prices rose to their highest levels in more than two years Tuesday as the revolt against Libyan leader Moammar Gadhafi reduced production in Africa’s third-largest oil producer and spread concerns about future supply.
The government did not provide any additional steps to cushion the imported inflation at the meeting. Early this month, the government unveiled anti-inflation measures, including a freeze on public utility fares and delaying scheduled raises.
Subscribe to:
Posts (Atom)